메뉴 건너뛰기

큐티나눔방

  • 한경민
  • Mar 25, 2015
  • 1218
 



새찬송가 274장
1 나 행한 것 죄뿐이니 주 예수께 비옵기는 나의 몸과 나의 맘을 깨끗하게 하옵소서 2 내 어둔 눈 밝히시니 참 기쁘고 고마우나 그보다 더 원하오니 정결한 맘 주옵소서 3 정결한 맘 그 속에서 신령한 빛 비치오니 이러한 맘 나 얻으면 눈까지도 밝으리라 4 못된 행실 다 고치고 악한 생각 다 버려도 주 앞에서 정결타고 자랑치는 못하리라 <후렴> 물가지고 날 씻든지 불가지고 태우든지 내 안과 밖 다 닦으사 내 모든 죄 멸하소서



마태복음 9:1-8
1 예수께서 배에 오르사 건너가 본 동네에 이르시니 2 침상에 누운 중풍병자를 사람들이 데리고 오거늘 예수께서 그들의 믿음을 보시고 중풍병자에게 이르시되 작은 자야 안심하라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3 어떤 서기관들이 속으로 이르되 이 사람이 신성을 모독하도다 4 예수께서 그 생각을 아시고 이르시되 너희가 어찌하여 마음에 악한 생각을 하느냐 5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 중에 어느 것이 쉽겠느냐 6 그러나 인자가 세상에서 죄를 사하는 권능이 있는 줄을 너희로 알게 하려 하노라 하시고 중풍병자에게 말씀하시되 일어나 네 침상을 가지고 집으로 가라 하시니 7 그가 일어나 집으로 돌아가거늘 8 무리가 보고 두려워하며 이런 권능을 사람에게 주신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니라

▩ 묵상을 돕는 질문
서기관들이 예수님을 신성모독으로 오해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어느 대목에서일까요? (2)
죄 사함을 선포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 중 어느 쪽이 쉬울까요? (5)

▩ 단어연구
신성모독(3) 하나님의 이름을 비방하거나 저주하는 행위를 말한다. 이 죄를 범한 자는 주로 돌로 쳐 죽임을 당하였는데, 산헤드린 공회는 예수님을 신성모독 죄로 고발하였다.



병자를 향해 죄 사함을 선포하신 주님은, 그의 병을 고침으로써 사죄 선포가 허언이 아니라 실체임을 보여주셨습니다. 예수님은 죄 사함의 권세를 가지신 하나님입니다.
죄 사함을 선포하시는 예수님(1-4) 주님께서 중풍병자를 향하여 죄 사함을 선포하십니다. “작은 자야, 안심하라.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매우 따뜻하지만, 엄청난 화(禍)를 부를 수 있는 말입니다. 당시 죄 사함은 성전에서, 제사 후에, 제사장이 선포할 수 있었습니다(민 15:25). 죄를 사하는 권세는 오직 하나님께만 있기 때문입니다. 성전도 아닌 곳에서, 제사 없이, 하나님이 아닌 한낱 사람이 죄 사함을 선포하는 행위는 하나님을 사칭하는 죄, 즉 신성모독죄를 짓는 행위입니다(3). 이를 모르실 리 없는 예수님이, 사람들 보는 앞에서 대놓고 죄 사함을 선포하십니다. 그분은 정말로 하나님이시기 때문입니다. 예수님은 단지 지혜로운 랍비나 기적을 일으키는 재주꾼이 아닙니다. 바로 그분은 살아계신 하나님이십니다.
나는 예수 그리스도를 어떻게 알고 있습니까? “나의 주님이시요, 나의 하나님이시니이다.”(요 20:28) 주님을 향한 도마의 고백이 나의 고백입니까?
죄 사함의 실체를 보이시는 예수님(5-8) 병 고침을 통해 예수님은 자신의 사죄 선언이 허언이 아니라 실체임을 보여주십니다. 자신이 정말로 죄를 사하는 권세를 가진 하나님임을 보여주십니다. “네 죄 사함을 받았느니라 하는 말과 일어나 걸어가라 하는 말 중에 어느 것이 쉽겠느냐”(5) 사실 어느 쪽도 쉽지 않지만, 속이려는 의도라면 전자가 쉬울 겁니다. 죄가 사해졌는지 아닌지 육안으로 확인할 길이 없기 때문입니다. 반면 일어나 걸어가라는 말은 그 결과가 가시적으로 드러나기에 속일 수가 없습니다. 5절에서 질문을 통해 주님은 의도적으로 병 고침과 죄 사함을 동전의 양면처럼 연결해 버리십니다. 바로 이 정황 속에서 주님이 중풍병자를 고치셨습니다. 우리 주님은 정말로 죄를 사하시는 하나님이십니다. 아멘.
죄는 어쩌면 떼려야 뗄 수 없는 내 존재의 일부처럼 보입니다. 주님의 십자가가 정말로 나의 죄를 씻을 수 있음을 믿으십니까?




• 주님이 원하시면 나의 죄를 씻을 수 있나이다. 나의 죄를 사하여 주소서
• [박덕형, 정신자 선교사(M국)] 무료의료봉사를 통해 주님의 사랑을 전하게 하소서 
제목 날짜
2015년 3월 19일(목) 좁은 문과 좋은 나무   2015.03.19
2015년 3월 1일(주일) 땅을 판단하려 임하실 왕   2015.03.01
2015년 3월 20일(금) 신앙생활이 아니라 생활신앙   2015.03.20
2015년 3월 21일(토) 소박함과 위대함이 만날 때   2015.03.20
2015년 3월 22일(주일) 주의 부요가 가득한 땅   2015.03.20
2015년 3월 23일(월) 제자의 길   2015.03.20
2015년 3월 24일(화) 풍랑과 영적전쟁   2015.03.24
2015년 3월 25일(수) 죄 사함의 권세를 가진 예수님   2015.03.25
2015년 3월 26일(목) 새 부대여, 주님을 따르라   2015.03.26
2015년 3월 27일(금) 사랑하는 내 딸아!   2015.03.27
2015년 3월 28일(토) 그릇대로 받으리라   2015.03.28
2015년 3월 29일(주일) 언약을 기억하신 하나님   2015.04.02
2015년 3월 2일(월) 요셉 자손에게 주어진 기업   2015.03.01
2015년 3월 30일(월) 주님의 마음 vs. 제자들의 마음   2015.04.02
2015년 3월 31일(화) 시험, 기도 그리고 칼   2015.04.02
2015년 3월 3일(화) 예수 그리스도의 나심   2015.03.03
2015년 3월 4일(수) 왕의 탄생   2015.03.04
2015년 3월 5일(목) 누가 진정한 왕인가?   2015.03.05
2015년 3월 6일(금) 세례 요한의 천국 선포   2015.03.06
2015년 3월 7일(토) 예수님의 공생애 사역의 시작   2015.0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