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큐티나눔방

  • 한경민
  • Aug 24, 2014
  • 632


새찬송가 144장
1 예수 나를 위하여 십자가를 질 때 세상 죄를 지시고 고초 당하셨네 2 십자가를 지심은 무슨 죄가 있나 저 무지한 사람들 메시야 죽였네 3 피와 같이 붉은 죄 없는 이가 없네 십자가의 공로로 눈과 같이 되네 4 아름답다 예수여 나의 좋은 친구 예수 공로 아니면 영원 형벌 받네 <후렴> 예수님 예수님 나의 죄 위하여 보배 피를 흘리니 죄인 받으소서 아멘 



눅 23:13-25
13 빌라도가 대제사장들과 관리들과 백성을 불러 모으고 14 이르되 “너희가 이 사람이 백성을 미혹하는 자라 하여 내게 끌고 왔도다. 보라, 내가 너희 앞에서 심문하였으되 너희가 고발하는 일에 대하여 이 사람에게서 죄를 찾지 못하였고 15 헤롯이 또한 그렇게 하여 그를 우리에게 도로 보내었도다. 보라, 그가 행한 일에는 죽일 일이 없느니라. 16 그러므로 때려서 놓겠노라.” 17 (없음) 18 무리가 일제히 소리 질러 이르되 “이 사람을 없이하고 바라바를 우리에게 놓아 주소서.” 하니 19 이 바라바는 성중에서 일어난 민란과 살인으로 말미암아 옥에 갇힌 자러라. 20 빌라도는 예수를 놓고자 하여 다시 그들에게 말하되 21 그들은 소리 질러 이르되 “그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하는지라. 22 빌라도가 세 번째 말하되 “이 사람이 무슨 악한 일을 하였느냐? 나는 그에게서 죽일 죄를 찾지 못하였나니 때려서 놓으리라.” 하니 23 그들이 큰 소리로 재촉하여 십자가에 못 박기를 구하니 그들의 소리가 이긴지라. 24 이에 빌라도가 그들이 구하는 대로 하기를 언도하고 25 그들이 요구하는 자 곧 민란과 살인으로 말미암아 옥에 갇힌 자를 놓아 주고 예수는 넘겨 주어 그들의 뜻대로 하게 하니라.

▩ 묵상을 돕는 질문
삼위 하나님은 어떤 분이고, 어떤 일을 하셨습니까?
하나님이 나에게 특별히 말씀하시는 것은 무엇입니까?

▩ 단어해설
민란과 살인(19절) 많은 학자들은 바라바가 열심당원들이 한 민족적인 저항과 관련되었을 것으로 생각한다.



예수님에 대한 빌라도의 재판에는 여러 사람들이 등장합니다. 그들의 특징들이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빌라도(13-17, 20, 22, 24) 빌라도는 예수님의 죄를 찾지 못하였고, 세 번이나 그를 죽일 죄가 없다고 선언합니다(14, 15, 22절). 그러나 그는 군중들의 외침에 자신의 판단을 포기합니다. 재판 과정 중에 예수님의 죄 없음이 명백하게 밝혀졌음에도 빌라도는 예수님이 죄인임을 판결합니다. 이러한 일들이 오늘날도 허다하게 발생하지 않습니까? 그리스도인들은 자신이 옳은 것은 옳다하고, 잘못은 잘못이라 해야 합니다. 어떠한 손해가 있을지라도 거짓된 판결을 해서는 안됩니다.
나는 어떤 중대한 판단을 할 때 그 결과가 미치는 심판이 엄중함을 생각하고 있습니까?

군중들(18, 21, 23) 군중들은 예수님을 향한 기대가 좌절되자 예수님을 못박으라고 소리칩니다. 실패한 메시아 운동에 대한 실망감과, 행여 지배층들로부터 예수님을 추종했다는 불필요한 오해를 받지 않기 위한 의도가 어우러진 결과였습니다. 그들은 그들의 안위만 생각하고 예수님을 십자가에 넘겨주는 데 역할을 했지만 하나님이 모든 것을 주도하고 계셨음을 부인할 사람은 없습니다. 하나님은 인간의 분노와 실수까지도 활용하셔서 하나님의 뜻을 이루어 내십니다.
하나님의 섭리를 신뢰하며 나에게 주어진 삶에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까?

예수님과 바라바(18-19, 24-25) 민란과 살인으로 감옥에 갇혀 있었던 바라바는 예수님을 대신해 놓임을 받게 되었습니다. 죄가 없는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박히고, 죄인 바라바는 놓임을 받습니다. 예수님의 죽음은 마지막까지 죄인을 구원하십니다. 마지막까지 사명에 충실하셨던 주님의 은혜로 오늘 우리도 주님의 말씀 앞에 머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 은혜에 감사합니까?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원대한 계획을 신뢰하며 충실하게 나의 삶을 감당하게 하소서
•키르키즈스탄의 종교법이 속히 개정되어 예배에 어려움이 없게 해 주소서

 

제목 날짜
2014년 12월 18일(목) 자녀와 부모, 종과 상전에게 주시는 교훈   2014.12.18
2014년 8월 1일(금) 용서와 믿음과 겸손의 능력   2014.08.01
2014년 8월 10일(주일) 잠 못 이루는 밤   2014.08.10
2014년 5월 31일(토) 축복과 마지막 인사   2014.05.31
2014년 8월 31일(주일) 우리가 가르쳐야 할 것들   2014.08.24
2014년 12월 9일(화) 위대한 기도와 찬양   2014.12.09
2015년 3월 5일(목) 누가 진정한 왕인가?   2015.03.05
2014년 9월 13일(토) 호렙 산에서의 출발과 지도자들을 세움   2014.09.13
2014년 8월 25일(월) 빌라도의 재판   2014.08.24
2014년 7월 17일(목) 하나님께 부요한 자   2014.07.17
2014년 10월 30일(목) 전쟁의 시작과 징병 면제 규정   2014.10.25
2014년 7월 14일(월) 표적을 구하는 세대에 대하여   2014.07.15
2015년 3월 20일(금) 신앙생활이 아니라 생활신앙   2015.03.20
2014년 9월 22일(월) 약속된 땅의 분배와 취하라는 명령   2014.09.21
2014년 8월 19일(화) 최후의 만찬   2014.08.19
2015년 2월 25일(수) 다툼과 변심에 대한 경고   2015.02.25
2015년 2월 9일(월) 여호와의 말씀에 순종하라   2015.02.07
2014년 9월 25일(목) 한 없이 오래 살리라   2014.09.25
2014년 6월 5일(목) 세례 요한의 탄생   2014.06.07
2015년 3월 4일(수) 왕의 탄생   2015.03.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