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감동편지

  • 한경민
  • Feb 24, 2015
  • 1914
'깨어나는' 경험

깨어 있음, 자제력, 
신뢰성, 책임감 같은 태도는 
스파르타식 훈련이나 수업을 통해 
길러질 수 있는 성질의 것이 아니다. 
아이와 청소년, 그리고 어른들이 그런 태도를 
갖추길 원한다면 그들에게 자제력의 유익, 
신뢰성의 유익, 사려 깊고 깨어 있는 
마음의 유익을 경험할 기회를 
주어야 한다. 


- 게랄트 휘터의《우리는 무엇이 될 수 있는가》중에서 - 


* 잠에서 깨어나야
그날 하루를 살 수 있습니다.
무지에서 깨어나야 일생을 살 수 있습니다.
어제보다 더 사려 깊은 사람으로, 더 유익한 존재로
깨어나야 그 사회의 좋은 리더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 '깨어나는' 경험을 친구와 친구, 부모와 자녀,
스승과 제자가 함께 체험하고 함께 공유하는 
기회를 갖는 것이야말로 진정 
'살아있는' 공부입니다.  



출처: 고도원의 아침편지

제목 날짜
물건을 훔친 아이를 보듬어 준 사람들   2015.03.03
이준 열사의 유언   2015.03.01
여섯 가지 참회   2015.03.01
딸 바보였던 외할아버지   2015.02.26
기억이 끊겼던 기억   2015.02.26
'깨어나는' 경험   2015.02.24
시골 강아지   2015.02.17
아버지의 냄새   2015.02.17
금연의 진짜 이유   2015.02.15
부름(Calling)   2015.02.13
사랑해요 엄마   2015.02.07
어른들만 낳은 할머니   2015.02.07
모든 순간에 잘 살아야 한다   2015.02.06
10만 원의 가치   2015.02.06
이타적 사랑   2015.02.05
꽃보다 더 아름다운   2015.01.31
곁에 있어주자   2015.01.30
좋은 습관, 나쁜 습관   2015.01.27
팔랑개비와 풍차   2015.01.27
신성한 호흡   2015.01.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