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감동편지

  • 김미정
  • Oct 23, 2024
  • 3

"너, 정말 많이 힘들겠다. 나도 그 느낌을 어느 정도 알 것 같아.

네가 그렇게 힘들어 하니까 나도 같이 힘든 것 같아."

 

이렇게 상대가 여러분과 함께 같은 느낌을 느낀다고 해주면,

참 고마운 친구라고 생각하겠지요.

그런데 이런 동정의 마음을 자주 표현하는 경우

우리는 점점 그 진정성을 느끼기가 어려워집니다.

어느새 상대방이 표현하는 동정의 마음은 피상적으로 느껴집니다.

게다가 우리의 깊은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은

얕은 느낌을 가지게도 합니다. 왜 그럴까요?

 

동정하는 친구의 위치와 우리의 위치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친구의 위치는 웅덩이 위 안전한 곳에 있고,

우리의 위치는 웅덩이 아래 비참한 현실에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가 안전한 웅덩이 위가 아니라, 우리가 처한 위험한 곳까지

스스로 내려와 준다면 세상에 둘도 없는 든든한 동반자를 얻는 기분이 들 것입니다.

공감은 바로 이런 상호적인 연대감을 느끼는 과정입니다.

 

공감의 과정이 이렇게 상대방의 웅덩이로 천천히 내려가서

결국 감정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서는 일이라고 한다면,

너무 급하게 내려가서도 안 됩니다.

천천히 웅덩이 아래로 내려가되, 바닥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결국 할 수 있는 일은 단 한 가지뿐입니다.

결국 웅덩이 밑바닥에서 만난 두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바로 부둥켜안고 우는 일입니다.

웅덩이 바닥에 있는 구심력 감정과 온건한 감정을 공감할 때

뜨거운 치유의 눈물이 흐르는 것과도 같은 이치입니다.

 

- 권수영 저, <공감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중에서

 
 
 
제목 날짜
사람을 살리는 공감의 힘   2024.10.23
생존자의 법칙이란?   2024.10.23
스스로 답을 찾는 자는 절망하는 법이 없다   2024.11.06
현대판 키다리 아저씨가 된 국민 mc이야기   2024.12.04
삶이 꼭 모범 답안처럼 흐르지는 않잖아?   2024.12.04
하루를 축복 속에서 보내고 싶다면   2025.01.09
눈물 젖은 빵을 먹던 축구소년   2025.01.09
시간 관리만 잘해도 자존감이 높아진다   2025.01.23
하루를 축복 속에서 보내고 싶다면   2025.01.23
고령의 부모님을 이해 하는 것은 곧 미래의 나를 이해 하는 것   2025.02.19
너를 미워할 시간에 나를 사랑하기로 했다   2025.02.19
너무 잘하려고 애쓰지 마라   2025.03.19
일기 쓰는 방법과 가치관에 대한 깨달음 두가지   2025.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