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감동편지

  • 김미정
  • Oct 23, 2024
  • 3

"너, 정말 많이 힘들겠다. 나도 그 느낌을 어느 정도 알 것 같아.

네가 그렇게 힘들어 하니까 나도 같이 힘든 것 같아."

 

이렇게 상대가 여러분과 함께 같은 느낌을 느낀다고 해주면,

참 고마운 친구라고 생각하겠지요.

그런데 이런 동정의 마음을 자주 표현하는 경우

우리는 점점 그 진정성을 느끼기가 어려워집니다.

어느새 상대방이 표현하는 동정의 마음은 피상적으로 느껴집니다.

게다가 우리의 깊은 감정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은

얕은 느낌을 가지게도 합니다. 왜 그럴까요?

 

동정하는 친구의 위치와 우리의 위치가 판이하게 다르기 때문입니다.

친구의 위치는 웅덩이 위 안전한 곳에 있고,

우리의 위치는 웅덩이 아래 비참한 현실에 있기 때문입니다.

친구가 안전한 웅덩이 위가 아니라, 우리가 처한 위험한 곳까지

스스로 내려와 준다면 세상에 둘도 없는 든든한 동반자를 얻는 기분이 들 것입니다.

공감은 바로 이런 상호적인 연대감을 느끼는 과정입니다.

 

공감의 과정이 이렇게 상대방의 웅덩이로 천천히 내려가서

결국 감정의 가장 밑바닥까지 내려가서 서는 일이라고 한다면,

너무 급하게 내려가서도 안 됩니다.

천천히 웅덩이 아래로 내려가되, 바닥까지 내려갈 수 있다면

결국 할 수 있는 일은 단 한 가지뿐입니다.

결국 웅덩이 밑바닥에서 만난 두 사람이

할 수 있는 일이란 바로 부둥켜안고 우는 일입니다.

웅덩이 바닥에 있는 구심력 감정과 온건한 감정을 공감할 때

뜨거운 치유의 눈물이 흐르는 것과도 같은 이치입니다.

 

- 권수영 저, <공감에도 연습이 필요합니다> 중에서

 
 
 
제목 날짜
일기 쓰는 방법과 가치관에 대한 깨달음 두가지   2025.04.03
너무 잘하려고 애쓰지 마라   2025.03.19
너를 미워할 시간에 나를 사랑하기로 했다   2025.02.19
고령의 부모님을 이해 하는 것은 곧 미래의 나를 이해 하는 것   2025.02.19
하루를 축복 속에서 보내고 싶다면   2025.01.23
시간 관리만 잘해도 자존감이 높아진다   2025.01.23
눈물 젖은 빵을 먹던 축구소년   2025.01.09
하루를 축복 속에서 보내고 싶다면   2025.01.09
삶이 꼭 모범 답안처럼 흐르지는 않잖아?   2024.12.04
현대판 키다리 아저씨가 된 국민 mc이야기   2024.12.04
스스로 답을 찾는 자는 절망하는 법이 없다   2024.11.06
생존자의 법칙이란?   2024.10.23
사람을 살리는 공감의 힘   2024.10.23
마음의 근육을 키우는 방법   2024.09.19
'60'점으로 만족하며 살기   2024.08.21
부부는 왜 싸우고 또 싸울까?   2024.08.21
말에는 병든 마음을 치료하는 힘이 있다   2024.08.21
중요한 말을 전할 때 반드시 지켜야 하는 것   2024.08.02
마음을 얻는 최고의 방법   2024.07.25
우울한 가족과 살아가는 당신에게   2024.07.16